애플 비전 프로와 메타 퀘스트 3 (Meta Quest 3)이 MR 혹은 AR 기기로 주목받는 이유는, 단순히 촬영한 영상을 보여주는 데 그치지 않고, 사용자가 현실과 유사한 공간적 감각을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기기들은 사용자에게 현실적이고 직관적인 공간 인식을 제공한다.
수재해 예측과 예방 기술로, 국민의 안전과 재산을 지켜가는 수자원 공학자 윤성심 수석연구원
윤성심 수석연구원은 한국건설기술원에서 돌발성 호우의 사전 예측과 선제 대응, 강우 추정 및 예측 정확도 개선을 연구한다. 발전용 댐 운영을 위해 딥러닝 기술을 이용해서 강우를 예측하고 예측 댐 유입량의 정확도를 높이는 댐 기술 개발 과제의 책임을 맡아 5년이 넘는 장기의 연구를 마쳤으며, 그의 연구 결과는 수력발전용 댐 운영에 활용되어 높은 예측 정보를 바탕으로 무효방류량을 줄여 댐 운영 효율을 개선하고 댐 운영 안정성을 높였다. 매년 호우와 홍수, 이로 인한 자연 재해의 불안이 찾아오지만, 이에 대해 보다 정밀하고 확실한 대비책을 세우기 위해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교량을 보며, ‘나도 저렇게 커다란 것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를 상상했던 여학생이 수재해의 위협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 국가 기간 시절의 안전을 지키는 수자원 전문가가 되기까지. 그녀의 특별한 연구와 성과를 함께 알아봅시다.
[디위드 테마 13] 2023년 국내 기업의 다양성 현황 분석 및 시사점
국내 기업의 다양성 현황 분석
국내 기업의 다양성 현황을 규모별, 업종별로 분석한 결과 규모별 현황에서는 기업의 규모가 클수록 다양성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대규모 기업들은 물적·인적·제도적 역량이 다양성에 기여할 수 있지만, 소규모 기업들은 이러한 다양성 관련 조직 문화를 추진할 여력이 부족하다는 점이 드러났다.
업종별 다양성 현황 분석에서는 금융/보험업이 직원 보상과 직원 평가 항목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했지만, 인적 구성에서는 평균 이하의 낮은 점수를 보였다. 반대로 영상/방송/광고 업종은 인적 구성 면에서는 상대적으로 우수했으나, 직원 교육과 지원 제도에서는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는 기업들이 다양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는 있지만, 실질적인 직원 교육과 지원 제도 마련에 있어서는 충분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국내 기업의 다양성 현황 분석 및 시사점을 함께 알아보자.